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실존주의
- 대구삼성전
- 정의론
- 철학자
- 교육철학
- 쇼펜하우어
- 주식투자
- 철학
- 경기브리핑
- 아리스토텔레스
- 칸트
- 투자철학
- 인간학적유물론
- 존재론
- #신문읽기 #철학적사고 #비판적사고 #현재이해하기 #사회이슈 #철학의힘 #독서습관 #사고력향상 #자기표현 #신념형성 #뉴스리터러시 #사고확장 #현대철학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심층읽기 #비교분석 #견해표명 #사회비평 #생각정리 #세상탐험 #지식확장 #철학적사유 #신문의중요성 #진보적사고 #사고의다양성 #철학과영감 #일상속의철학 #탐구정신 #현실인
- 야구
- 행복론
- 우리의삶
- 자기성찰
- 역사적유물론
- 교훈
- 무순위청약
- 키움히어로즈
- 소나무의철학이야기
- 김혜성
- 소크라테스
- 니체
- 다운로드
- 각성의철학
- 발터베냐민
- Today
- Total
목록철학과 우리의 삶 (51)
소나무의 세상만사

안녕하세요. 소나무의 철학 이야기입니다.건강이란 무엇일까요? 그리고 건강한 삶이란 철학적으로 어떻게 실천할 수 있을까요? 그 부분에 대해 생각해 보려고 합니다. 건강이란 무엇인가? 건강이란 우리 삶의 철학적인 기초입니다. 건강은 단순히 질병의 부재가 아니라,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완전한 안녕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는 세계보건기구(WHO)가 정의한 건강의 개념이며, 이는 우리가 건강을 단순한 생물학적 상태가 아닌, 더 넓은 철학적 맥락에서 바라보아야 함을 시사합니다. 신체적 건강은 자연의 리듬과 조화입니다. 신체적 건강은 자연의 법칙을 따르는 삶의 방식과 깊은 연관이 있습니다.우리 몸은 자연의 일부이며, 자연의 리듬에 맞춰 생활할 때 가장 건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이는 고대 철학작들이 ..

안녕하세요. 소나무의 철학이야기입니다. 오늘은 105세 철학자 김형석씨에 대해서 살펴보려고 합니다.우리 사회에 많은 영향을 미친 철학자 김형석 씨가 우리들에게 다양한 시각과 이야기를 전하고 있는데요. 그 부분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05세 철학자 김형석 씨의 생애 김형석 교수님은 1920년 평안북도 운산에서 태어났고, 일본 조치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신 후, 1947년 탈북하여 서울 중앙고등학교의 교사와 교감으로 일하셨습니다. 연세대학교 철학과 교수 및 명예교수, 미국 시카고대와 하버드대 연구 교수등을 역임하시고, 한국 최고령 철학자로서, 지속적인 공부와 젊은 감정 유지를 장수 비결로 꼽으셨습니다. 김형석 교수님의 철학적 사상은 종교와 인간 존재에 대한 깊은 성찰을 바탕으로 합니다. 교수님은 절망적 ..

안녕하세요. 소나무의 철학 이야기입니다. 요즘 끔찍한 사건들이 너무나 많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이러한 사건들을 우리가 이겨내려면 인간의 존엄성에 관한 철학적 사조를 공부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다양한 철학자들의 인간 조엄성에 대한 견해들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인간 존엄성과 관련한 철학 이론 인간 존엄성과 관련한 철학 이론들은 상당히 많습니다. 그 중에 몇개를 추려보았습니다. 먼저, 칸트의 인간 존엄성 이론 (Immanuel Kant)을 들 수 있습니다.칸트는 인간을 단순히 수단으로만 보는 것이 아니라 목적 그 자체로 존중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인간은 항상 목적을 가지고 행동하며, 이는 인간의 존엄성을 보장하는 근본적인 특성입니다. 다음으로 유다야나의 인간 존엄성 이론 (Hannah Arendt)입니..

안녕하세요. 소나무의 철학 이야기입니다. 행복론에 대한 이야기들이 많습니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철학자인 소크라테스와 아리스토텔레스는 서로 행복에 대한 견해가 같았을까요? 비교해보겠습니다. 행복론의 비교 요약 소크라테스와 아리스토텔레스는 행복에 대한 서로 다른 접근 방식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소크라테스는 행복이 인간 노력을 통해 얻을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육체적인 쾌락이나 외부의 보상에서 오는 행복이 아니라, 영혼의 조화와 내적 평정을 통해 참된 행복을 찾아야 한다고 믿었습니다. 소크라테스에 따르면, 욕망에 대한 합리적인 통제와 영혼의 다양한 부분을 조화롭게 하는 것이 내면의 평화를 가져오며, 이것이 바로 신과 같은 상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행복을 '유다이모니아(eudaim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