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대구삼성전
- 소나무의철학이야기
- 발터베냐민
- 키움히어로즈
- 우리의삶
- 철학자
- 철학
- 인간학적유물론
- 행복론
- 교훈
- 쇼펜하우어
- #신문읽기 #철학적사고 #비판적사고 #현재이해하기 #사회이슈 #철학의힘 #독서습관 #사고력향상 #자기표현 #신념형성 #뉴스리터러시 #사고확장 #현대철학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심층읽기 #비교분석 #견해표명 #사회비평 #생각정리 #세상탐험 #지식확장 #철학적사유 #신문의중요성 #진보적사고 #사고의다양성 #철학과영감 #일상속의철학 #탐구정신 #현실인
- 아리스토텔레스
- 다운로드
- 김혜성
- 각성의철학
- 경기브리핑
- 주식투자
- 실존주의
- 존재론
- 자기성찰
- 정의론
- 야구
- 투자철학
- 역사적유물론
- 무순위청약
- 칸트
- 교육철학
- 니체
- 소크라테스
- Today
- Total
목록철학과 우리의 삶 (51)
소나무의 세상만사

안녕하세요 소나무의 철학이야기입니다. 존 스튜어트 밀은 19세기 영국의 철학자이자 경제학자로, 공리주의, 자유론, 자치론 등의 사상을 발전시킨 인물입니다. 그는 인간의 행복과 쾌락을 최대화하는 것이 모든 행동과 제도의 근본적인 목적이라고 주장했으며, 이를 위해 개인의 자유와 자기 결정권을 존중하고 보호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존 스튜어트 밀의 철학에 대해 요약하고 이를 통해 우리가 행복으로 나아가는 방향을 탐구해 보려고 합니다. 존 스튜어트 밀의 철학 존 스튜어트 밀은 공리주의를 주장하였습니다. 그는모든 행동과 제도는 인간의 최대 행복과 최대 행복의 원리에 따라 결정되어야 한다는 원칙을 강조하며, 모든 것은 인간의 쾌락과 행복을 증진하는 것이 우선되어야 한다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했습니다. 공리주의 철학..

안녕하세요. 소나무의 철학이야기입니다. '정의론'으로 유명한 철학자 존 롤스에 대한 관심이 뜨겁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존 롤스의 철학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는데요. 존 롤스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존 롤스의 철학 존 롤스는 미국의 정치 철학자로 '정의론'과 '정치적 자유주의' 등의 저작으로 유명합니다. 그는 자유와 평등이라는 인류의 원초적인 숙제를 어떻게 하면 동시에 풀어낼 수 있을까에 초점을 맞췄습니다. 그의 정의론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주요 이론을 포함하고 있는데, 그것을 알아보겠습니다. 1. 원초적 입장: 정의의 원리를 결정하기 위해, 우리는 모든 사람이 동등하게 원초적 입장에서 위치를 부여받는 가상의 상황을 상상해야 합니다. 원초적 입장에서는 자신의 성별, 인종, 재력, 능력, 성향 등을 ..

안녕하세요. 소나무의 철학 이야기입니다. 토마스 쿤이라는 과학철학자가 있습니다. 과학혁명의 구조라는 책으로 정말 유명한 사람인데요. 이 사람이 갖고 있는 생각들이 어떤 것인지, 그리고 우리에게 어떤 교훈을 주는지 생각해보겠습니다. 토마스 쿤의 철학 토마스 쿤의 철학을 이해하는 데는 세 가지 주요 개념이 있는데, 이것을 이해하면 토마스 쿤의 철학을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첫째는 패러다임입니다. 토마스 쿤은 패러다임을 과학자들이 공유하는 가정, 개념, 실천의 집합으로 정의했습니다. 패러다임은 과학자들이 세상을 이해하고 탐구하는 방식을 결정합니다. 패러다임은 과학자들이 공유하는 기호적 일반화, 모형, 가치들, 범례를 요소로 가집니다. 이러한 패러다임은 과학자들이 공동으로 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지식을 생성..

안녕하세요. 소나무의 철학 이야기입니다. 하이젠베르크는 양자역학의 창시자 중 한 명이며, 불확정성의 원리로 유명한 독일의 이론물리학자였습니다. 그는 물리학과 철학의 관계에 대해 많이 고민하고 글을 쓰기도 하였는데요. 그가 가진 철학이 무엇이고, 오늘날 우리에게 어떤 의미를 주는지 살펴보고자 합니다. 하이젠베르크의 철학 하이젠베르크의 철학은 그의 물리학적 발견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습니다. 그는 양자역학에서 관찰자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강조했으며, 이는 과학적 지식의 한계와 주관성을 의미합니다. 그의 철학을 3가지로 정리해서 살펴보겠습니다. 첫째, 불확정성의 원리입니다. 양자역학에서 입자의 위치와 속도를 동시에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다는 원리를 의미하며, 전통적인 과학에서 주장하는 것을 정면으로 뒤집는 고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