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철학
- 자기성찰
- 소크라테스
- 칸트
- 대구삼성전
- 교육철학
- 실존주의
- 존재론
- 우리의삶
- 발터베냐민
- 각성의철학
- 무순위청약
- 니체
- 교훈
- 야구
- 아리스토텔레스
- 다운로드
- #신문읽기 #철학적사고 #비판적사고 #현재이해하기 #사회이슈 #철학의힘 #독서습관 #사고력향상 #자기표현 #신념형성 #뉴스리터러시 #사고확장 #현대철학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심층읽기 #비교분석 #견해표명 #사회비평 #생각정리 #세상탐험 #지식확장 #철학적사유 #신문의중요성 #진보적사고 #사고의다양성 #철학과영감 #일상속의철학 #탐구정신 #현실인
- 인간학적유물론
- 주식투자
- 투자철학
- 소나무의철학이야기
- 행복론
- 김혜성
- 역사적유물론
- 철학자
- 쇼펜하우어
- 경기브리핑
- 키움히어로즈
- 정의론
- Today
- Total
목록철학과 우리의 삶 (51)
소나무의 세상만사

안녕하세요. 소나무의 철학 이야기입니다. 데이비드 흄이라는 철학자가 갖고 있는 생각과 우리의 삶에서 우리가 얻을 수 있는 지혜에 대해서 생각해 보고자 합니다. 데이비드 흄은 어떤 생각들을 갖고 있었을까요? 데이비드 흄의 철학 데이비드 흄의 철학을 세 가지 개념 중심으로 풀어서 설명하겠습니다. 1. 경험주의: 흄은 경험주의 철학의 주요 인물로, 그는 모든 지식이 경험에서 비롯된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이론적인 실재론을 거부하고, 인간의 지식이 오직 경험에서만 비롯된다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이로 인해 그는 프란시스 베이컨, 토마스 호브스, 존 록, 그리고 조지 버클리와 같은 경험주의자로 분류되었습니다. 2. 인식론: 흄은 인식론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로 귀납법과 인과관계를 보았습니다. 그는 우리가 한 사건이 ..

안녕하세요. 소나무의 철학이야기입니다. 퇴계 이황에 대해서 많은 분들이 알고 있지만, 그가 가졌던 철학 사상에 대해서는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가 어떤 철학적 사상을 가지고 있었는지 살펴보고 우리 삶에 던지는 의미를 생각해 보겠습니다. 퇴계 이황의 철학 성학과 의리사상: 퇴계 이황은 모든 인간이 선한 본성을 가지고 태어난다는 명성론을 주장하였습니다. 이는 선한 본성ㅇ르 올바르게 이행하고 개발하면 완벽한 인간, 즉 '성인'이 될 수 있다는 관점을 의미합니다. 도학과 경세론: 퇴계 이황은 세상과 사물의 이치를 탐구하는 궁리와 그에 임할 떄의 마음가짐인 거경을 바탕으로 학문의 체계를 완성하려고 하였습니다. 이는 그의 도학과 경세론의 핵심을 담고 있습니다. 비판적 사유와 역사적 전개: 퇴계 이황은 이학 비판..

안녕하세요. 소나무의 철학이야기입니다. 알베르 카뮈의 철학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으신가요? 알베르 카뮈의 철학과 관련한 내용들을 정리해보았습니다. 알베르 카뮈의 철학 알베르 카뮈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의 핵심개념으로 철학적인 내용을 정리하였습니다. 첫째는 부조리입니다. 인간은 삶에 의미를 부여하고자 하지만 세상은 의미가 없고 무차별하다는 것을 깨닫습니다. 이것이 인간과 세상 사이의 부조리한 간극입니다. 카뮈는 이 부조리를 인정하고 직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했습니다. 두번째는 반항입니다. 부조리한 삶에 직면한 인간은 세 가지 태도를 취할 수 있습니다. 첫 번째는 삶에 회의를 느끼고 자살하는 것이고, 두 번째는 일상으로 돌아와 습관적으로 살아가는 것이며, 세 번째는 운명에 도전하며 삶의 의미를 찾아내는 ..

안녕하세요. 소나무의 철학 이야기입니다. 맹자의 철학은 우리에게 많은 영향을 미치고 오늘날까지 내려오고 있습니다. 그의 철학에 대하여 살펴보겠습니다. 맹자의 철학 맹자의 철학과 관련해 핵심적인 부분을 살펴보겠습니다. 첫째, 성선설입니다. 성선설이란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선한 본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발현하고 실천하는 것이 인간의 목적이라는 것입니다. 인간의 선한 본성은 사단지심(측은지심, 수오지심, 사양지심, 시비지심)으로 나타납니다. 성선설은 맹자의 인간관의 근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둘째, 인의설입니다. 인은 사람다움이고, 의는 옮음입니다. 인가 의는 인간의 내재적인 도덕적 규범이며, 이를 따르는 것이 인간의 본분입니다. 인과 의는 차등적인 사랑과 존중을 요구하며, 겸애사상이나 공리주의를 비판합..